NHK 구마모토 방송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HK 구마모토 방송국은 규슈 최초의 방송국으로 1928년 6월 16일 라디오 방송을 개국했으며, 1934년 구마모토 중앙 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50년 일본방송협회가 해산되고 일본방송협회가 권리를 승계했으며, 1958년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다. 1971년 일본방송협회 규슈 본부로 개칭되었고, 1980년 구마모토 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6년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방송을 시작했으며, 2017년 현재의 방송 회관으로 이전했다. 현재 종합 텔레비전과 교육 텔레비전, 라디오 1, 2, FM 방송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 프로그램과 뉴스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설립 - 구덕운동장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구덕운동장은 주경기장, 야구장, 실내체육관, 씨름장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춘 스포츠 경기장 종합 단지로, 과거 주요 국제 대회가 개최되었으며 현재 부산 아이파크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과거 관중 압사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 1928년 설립 - 렛츠런파크 서울
렛츠런파크 서울은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대한민국 경마장으로, 한국 최초 경마장의 계승자이며 1988년 서울 올림픽 승마 경기 개최를 위해 과천으로 이전하여 1989년 개장한 이후 한국 경마의 주요 경주를 개최하는 중심지이고 한국마사회 본사가 위치해 있다. - NHK의 방송국 - NHK 니가타 방송국
NHK 니가타 방송국은 1931년 개국한 NHK 지역 방송국으로 니가타현을 중심으로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을 제공하며 디지털 방송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지역 뉴스 및 재난 정보 제공에 힘쓰고 있다. - NHK의 방송국 - NHK 오이타 방송국
NHK 오이타 방송국은 1941년 개국한 일본방송협회 산하 지역 방송국으로,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을 거쳐 현재 종합 및 교육 텔레비전, 라디오, FM 방송을 통해 오이타현 지역 뉴스 및 정보 프로그램을 제작·방송하며, 다양한 중계국과 NHK 플러스를 통해 오이타현 전역에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청자 편의성을 증대하고 있다.
NHK 구마모토 방송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방송 지역 | 구마모토현 |
우편 번호 | 860-8602 |
소재지 | 구마모토시주오구 하나바타초 5-1 |
링크 | NHK 구마모토 방송국 |
연혁 | |
개국 | 1958년 2월 22일 |
텔레비전 | |
콜사인 | GK |
아날로그 채널 | 9 |
디지털 채널 | 28 |
ID | 1 |
도시 | 구마모토 |
라디오 | |
제1라디오 콜사인 | GB |
제1라디오 주파수 | 756 kHz |
제1라디오 개국일 | 1928년 6월 16일 |
제1라디오 도시 | 구마모토 |
제2라디오 주파수 | 873 kHz |
FM 주파수 | 85.4 MHz |
중계국 정보 | |
라디오 중계국 | 해당 없음 |
디지털 중계국 | 해당 없음 |
텔레비전 중계국 | 해당 없음 |
기타 | |
특기 사항 | 해당 없음 |
2. 연혁
- 1983년 6월 9일 - 종합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 시작.[7]
- 1991년 3월 21일 - 교육 텔레비전 음성 다중 방송 시작.
- 1992년 6월 5일 - NHK 조직 개편으로 규슈 지방 총괄 기능을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전면 이관.[1]
- 2006년
- * 11월 1일 - 지상 디지털 방송 시험 방송 시작.
- * 12월 1일 - 지상 디지털 방송 본방송 시작.
- 2011년 7월 24일 - 아날로그 방송 종료.
- 2016년 11월 30일 - 현 방송 회관 준공.[8]
- 2017년
- * 6월 5일 - 방송 회관을 구마모토시 주오구 하나바타초의 하나바타 공원 옆으로 이전.
- * 12월 13일 - 구마모토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구마모토성 복구를 위해 구 방송 회관을 구마모토시에 대여하는 것을 총무성이 인가.[10]
- 2018년
- * 4월 - 토·일·공휴일(연말연시 포함) 로컬 뉴스·기상 정보 등을 후쿠오카에서 규슈 오키나와 블록 뉴스로 통일.
- * 6월 16일 - 개국 90주년.[12]
- 2023년
- * 4월 1일 - 조직 개편으로 콘텐츠 센터, 경영 관리 기획 센터로 재편.
- * 5월 15일 - NHK 플러스에서 지역 대상 텔레비전 프로그램 다시보기 서비스 시작.[13]
2. 1. 방송국의 설립과 초기 발전 (1928년 ~ 1945년)
1928년 6월 16일, '''사단법인 일본방송협회 구마모토 방송국'''이 '''규슈 최초의 방송국'''으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다.[1] 이는 쇼와 3년에 해당한다.1934년 5월 16일에는 '''구마모토 중앙 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며 규슈 지역의 거점 방송국으로 승격되었다.[1]
1945년 9월에는 라디오 제2방송을 시작했다.[1]
2. 2. 전후 복구와 텔레비전 방송 시작 (1945년 ~ 1980년)
1945년 9월 라디오 제2방송이 개시되었다.[1] 1958년 2월에는 종합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되었고,[1] 1963년 2월에는 교육 텔레비전 방송이 개시되었다.[1] 1980년에는 NHK의 중앙 방송국 제도 폐지에 따라 「구마모토 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라디오 제2방송(호출 부호: JOGB, 873kHz)은 송신 출력 500kW의 대출력으로 현내는 물론, 서일본의 넓은 범위에 걸쳐 송신되고 있다. 출력 500kW는 일본 최대 규모이며, 아키타, 삿포로, 도쿄 본국의 라디오 제2방송도 동일한 출력을 가진다.
'''연혁'''
- 1945년 (쇼와 20년) 9월 - 라디오 제2방송 시작.[1]
- 1958년 (쇼와 33년) 2월 - NHK 구마모토 텔레비전 방송 시작.[1]
- 1963년 (쇼와 38년) 2월 - NHK 구마모토 교육 텔레비전 (E-TV) 방송 시작.[1]
- 1964년 (쇼와 39년) 10월 1일 - 종합 텔레비전의 컬러 방송 시작.[2]
- 1966년 (쇼와 41년) 3월 20일 - 교육 텔레비전의 컬러 방송 시작.[3]
- 1971년 (쇼와 46년) 7월 1일 - 지방 본부 제도 도입에 따라 '''일본방송협회 규슈 본부'''로 개칭.[4]
- 1972년 (쇼와 47년) 12월 13일 - 라디오 제2방송의 송신소를 오즈정으로 이전. 출력을 10kW에서 500kW로 증강하고, 주파수를 1560kHz에서 870kHz로 변경.[5][6]
- 1980년 (쇼와 55년) 7월 25일 - 중앙 방송국 제도 폐지에 따라 '''일본방송협회 구마모토 방송국'''으로 개칭.[1]
2. 3. 지역 방송국으로의 전환과 디지털 방송 시대 (1983년 ~ 현재)
1980년 NHK의 중앙 방송국 제도 폐지에 따라 '구마모토 방송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83년 6월에는 종합 텔레비전 음성다중방송이 시작되었다.[7]1992년 11월, NHK 후쿠오카 방송 센터가 완성되면서 규슈 지구 중심 방송국 역할은 후쿠오카 방송국으로 통합되었다.[1] 이에 따라 구마모토 방송국은 지역 방송국으로 재출발하게 되었고, 지역 밀착형 활동을 강화했다.
2006년 11월 1일에는 지상파 디지털 텔레비전 시험 방송을 시작했고,[1] 12월 1일에는 본방송을 개시했다. 2011년 7월 24일에는 지상파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이 종료되었다.
2016년 11월 30일, 현재의 방송 회관이 준공되었다.[8] 2017년 6월 5일에는 방송 회관을 이전하고, 6월 17일부터 시청자 공개 공간을 개방했다.[9]
2018년 4월부터는 주말 및 공휴일의 로컬 뉴스와 기상 정보 등이 후쿠오카에서 규슈 오키나와 블록 뉴스로 통합되어 방송되었으나, 2022년부터 텔레비전의 18:45 로컬 뉴스와 기상 정보는 각 방송국별로 다시 분리되었다.[11]
2023년 4월 1일, 조직 개편을 통해 콘텐츠 센터, 경영 관리 기획 센터로 재편되었다. 같은 해 5월 15일에는 NHK 플러스를 통해 지역 대상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다시보기 서비스가 시작되었다.[13]
3. 채널 및 주파수
NHK 구마모토 방송국은 라디오 제1방송, 라디오 제2방송, FM방송을 운영하고 있다.
라디오 제1방송 구마모토 본국은 756 kHz(JOGK)로 출력은 10 kW이며, 라디오 제2방송 구마모토 본국은 873 kHz(JOGB)로 출력은 500 kW이다. 라디오 제2방송의 500kW 출력은 일본 최대 규모이다.[1]
- '''굵게''' 표시된 출력은 NHK(일본방송협회)만 설치했다.
3. 1. 텔레비전 방송
chch
ch
ch
1kW (교육)